지난해 창업기업 감소..."정부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2023년 전체 창업, 전년대비 6.0% 감소한 123만개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고금리와 고물가, 고환율 등 영향으로 지난해, 창업 기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창업기업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중기부는 "전체 창업은 온라인·비대면 관련 업종의 증가세 지속과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대면 업종 중심으로 증가했다"라며 "부동산 경기 부진이 창업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습니다.
2023년 전체 창업은 온라인·비대면 관련 업종의 증가세 지속과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대면 업종 중심으로 증가했으나, 글로벌 경기둔화 등이 부정적으로 작용해 전년대비 6.0% 감소한 123만8617개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2022년부터 이어진 부동산 경기 부진 등으로 부동산업의 신규 창업이 전년대비 7만9076개, 38.4% 대폭 감소한 것이 창업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습니다.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전년과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코로나19 엔데믹 선언 이후 대면업종 생산이 확대되면서 숙박·음식점업, 전기·가스·공기 등은 각각 8.1%, 32.7% 증가하는 등 전년대비 신규창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국내외 경기 부진으로 투자가 축소되고 수출이 줄어 도소매업(-1.4%), 건설업(-8.6%),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9.0%) 등은 신규 창업이 줄었습니다.
도소매업의 경우 경쟁 심화,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로 전환했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큐텐, 테무 등 대형 역외 해외사업자 등장으로 국내 소규모 온라인 창업은 위축됐다고 중기부는 설명했습니다.
건설업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위축, 건설 신규 수주 감소 지속,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창업이 감소했습니다.
정도범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원은 정부의 창업 지원과 관련해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은 창업기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며 "자금지원을 받은 창업기업에 대해 중장기적으로 생존율 및 성과를분석하여 자금 지원의 실효성 등을 검증함으로써 우수한 기업들이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을수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