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설 연휴 30000여명 의료·구조 지원병력 대기
▷헬기·구급차·소방차 등 600여대 지원태세 유지
▷병사들 새해목표 1위 '운동·체중감량', 2위 '공부·자격증 취득'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국방부는 설 연휴 정부합동 특별교통대책 기간인 2월 8일부터 2월 12일까지 5일간 긴급구조와 응급진료 지원태세를 유지해 국민이 안전하고 행복한 설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7일 밝혔습니다.
우선, 연휴 기간 중 발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에 대비해 헬기·구급차·소방차 등 600여대의 구조 장비와 3000여명의 의료·구조 지원 병력이 신속한 지원태세를 유지합니다.
또한, 전국 13개 군병원은 명절 연휴 기간 중 24시간 응급진료를 지원합니다. 도움이 필요한 국민은 언제든지 인근 군병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방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명절 연휴(설·추석)에 300여 명의 일반 국민이 군병원의 응급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안전하고 행복한 설 연휴가 될 수 있도록 도움이 필요한 국민들을 언제 어디서든 신속히 지원할 것"이라며 "국민과 함께하는 군으로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같은날 국방일보가 설 명절을 앞두고 공개한 2월 '병영차트' 설문결과에 따르면, 병사들의 설맞이 새해 목표 1위는 '운동·체중감량', 2위는 '공부·자격증 취득'으로 조사됐습니다.
‘운동/체력단련’을 목표로 세운 이유로는 "사회에선 운동과 선 긋고 살았는데, 군대와서 노력하면 뭐든 할 수 있단 걸 알게 돼서","전역 후 바디프로필 사진을 찍기 위해서","남자로서 한 번쯤 근육질 몸을 가져보고 싶어서"등이 있었습니다.
1위 못지않은 응답 수를 기록한 병사들의 2024년 목표 2위는 ‘공부·자격증 취득(109명·21.8%)’이었습니다. 꾸준한 자기계발로 자신의 군 생활을 ‘인생의 스펙업’ 기회로 삼겠다는 게 주요 이유입니다.
국방일보 병영차트는 매월 흥미로운 주제를 선정해 장병들의 의견을 듣고 순위를 매겨보는 소통·참여형 열린 국방 콘텐츠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