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어스랩, 독자 개발한 소형 자율비행 드론 기술 공개
▷'핵심기술 적용 확대를 위한 IR Day' 발표
출처=니어스랩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자율비행 드론 솔루션 스타트업 니어스랩(대표 최재혁)이 우리나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개발한 자율비행 소형 드론 기술을 방위사업 관계자들에게 공개했다고 30일 밝혔습니다.
니어스랩은 29일 서울 LW컨벤션에서 방위사업청 기반전력사업본부 주최로 열린 ‘기반본부 핵심기술 적용 확대를 위한 IR Day’에서 니어스랩이 독자 개발한 ‘범용 자율비행 드론 플랫폼’을 발표했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방위사업청, 국방기술연구소를 비롯해 대한항공,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기성 방산기업 8곳과 니어스랩 등 방산혁신기업 8곳 등이 참석했습니다.
니어스랩 관계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론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운데 정보 유출에 민감한 국방∙보안 분야에서 국내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다. 여기에 병역 자원 감소로 인해 신뢰성있는 무인 전력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니어스랩은 세계 안전점검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은 자율비행 솔루션을 기반으로 "근거리 정찰 임무에 특화된" 소형 드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니어스랩의 자율비행 드론은 광학/적외선 카메라와 LRF(레이저 거리측정) 카메라를 장착해 야간에도 비행이 가능하며, 2축 짐벌 시스템을 적용해 보다 180도 화각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주로 일방향 촬영에 제한되는 기존 드론 대비 획기적인 발전을 이뤘다는 설명입니다.
군집비행도 가능해 다수의 드론이 동시에 광범위 정찰임무도 수행할 수 있고, 컴퓨터 비전으로 실내나 지하, 도심 등 GPS 음영지역에도 안정적인 임무 수행이 가능합니다.
이날 발표를 한 정영석 니어스랩 CTO는 “소형 자율비행 드론은 야지뿐 아니라 도심이나 지하 공간 등 다양한 작전환경에 근접 정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며 “니어스랩 독자 기술로 개발한 드론이 다양한 임무 환경에서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해 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