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포트]"면허경험 있다고 운전시켜도 되나"...참여자 80%, 특별양성체제 반대-①
![[위포트]"면허경험 있다고 운전시켜도 되나"...참여자 80%, 특별양성체제 반대-①](/upload/1cb1bf1a2dbb4028b0b24774e83f3a91.jpg)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첨예한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삼아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위고라'에서, '교육부가 쏘아올린 특별양성체제 논란'을 주제로 토론을 진행한 결과, 특별양성체제는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의견이 80.10%를 차지했습니다. 반면 특별양성체제는 '문제 없다'라는 의견은 18.99%, 중립의견은 0.90% 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위고라는 10월 6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994개의 의견이 달렸습니다.
특별양성체제는 유보통합의 교사자격 통합 방안 중 하나로 장애영유아보육교사가 현재 유아특수교사 자격 취득과정에 준하는 교육과정을 들은 뒤 관련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교육부 공식입장은 이를 통합할 방안을 올해 말까지 공개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다만 지금껏 유보통합추진위원회 등에서 논의된 사안을 종합해보면, 자격 기준통합은 특별양성체제를 통해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특별양성체제, 부족한 특수교사 늘릴 수 있어
먼저 이번 위고라에서 '찬성'의견(비율 18.99%·특별양성체제는 문제 없다)을 선택한 참여자는 특별양성체제가 의무교육 대상자인 장애영유아를 돌볼 수 있는 유아특수교사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교육부에 따르면, 유아특수교사는 연 300명 내외로 배출되는 상황으로 어린이집과 유치원 내 장애영유아를 가르칠 특수교사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에따라 장애영유아보육교사가 특별양성체제를 통해 유아특수교사 자격을 얻게 된다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겁니다.
참여자 A는 "현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장애 영유아 수는 늘고 있지만 정작 특수교사 숫자는 적은 상황"이라면서 "장애영유아보육교사에가 특별양성체제와 같은 별도의 과정을 통해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해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참여자 B는 "장애 영유아를 돌볼 수 있는 선생님들의 숫자도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 특별양성체제는 필요하다"면서 "유아특수교사분들이 기득권을 좀더 내려놓고 현실을 고려해 특별양성체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해줬으면 하는 좋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와함께 찬성 측은 장애영유아보육교사가 특별양성체제를 통해 유아특수자격에 준하는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정부가 대학과 대학원 등에 임시학과 개설 등 환경 개선에 힘써줄 것을 건의했습니다.
참여자 C는 "특별양성체제가 실행되더라도 전국 곳곳에 대학과 대학원 등이 임시 개설되지 않는다면, 장애보육교사는 생계를 포기하고 관련 교육을 들어야 하는 상황"이라면서 "정부가 이와같은 현장의 상황을 미리 잘 파악해 정책을 추진했으면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이밖에도 찬성 측은 유보통합의 목적은 아동에 있다면서 기존 체제에 연연해 기득권을 놓치 못한다면 유보통합은 이뤄질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참여자 D는 "유보통합은 아이들을 위해 진행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선생님 간 갈등으로 특별양성체제가 미뤄진다면 또다시 공전만 거듭할 뿐"이라면서 "(유아특수교사가) 기득권을 내려놓을 각오도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밖에도 "교사의 전문성은 단지 자격증만으로 정해지지 않는다',"저출산으로 교사를 줄이는 상황 속에 특별양성체제가 유아특수교사 수를 늘릴 있는 또 다른 답이 될 수 있다"등의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형평성 어긋나..."면허없는데 경험있다고 운전시켜도 되나"
반면 이번 위고라에서 '반대'의견(비율 80.10%·특별양성체제는 형평성에 어긋난다)을 선택한 참여자 중 '이**'님이 올린 의견이 29표로 가장 많은 추천수를 기록했습니다. 참여자 '이**'님은 "4년제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사는 특수교육을 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추게 되며, 이를 위해 늦은 나이에 다시 대학을 들어가 몇년이라는 긴시간, 수천만원의 학비를 투자해 공부를 한다. 전문지식이 필요한 장애유아 교육을 위해 임용고시 합격까지 대학졸업 후 더 많은 시간과 노력과 비용을 투자했다"면서 "진정 아이들을 위한다면, 장애영유아를 위한 전문적인 특수교육이 실현 될 수 있도록 유보통합을 철폐하고 특수교육과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임용고시를 거친 유아특수교사를 양성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와함께 반대를 선택한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특별양성체제가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참여자 E는 "유아특수교사에 대해 형평성 없이 자격이 주어진다면 다른 교육직렬 뿐 아니라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등 직종별로 얽혀있는 모든 관계가 무너질 것"이라면서 "유아특수교사 자격증을 위한 길을 폐쇄적이지 않고 누구나 접근 가능하다. 부디 특별양성체제를 도입해 새로운 갈등을 만들지 말아 달라"고 적었습니다.
참여자 F는 "학부에 들어가 정당하게 자격을 취득하는 방법이 있음에도 이런 정책을 내놓은 것은 역으로 유아특수 교사들의 헌신과 노력을 고려하지 않은 처사다. 면허도 없는데 운전경험 있다고 운전을 시켜선 안되는 것처럼 특별양성체제로 장애영유아보육교사가 유아특수교사 자격을 얻게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밝혔습니다.
반대 측에서는 특별양성체제 도입은 곧 교육의 질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란 주장도 제기했습니다. 모든 전문성의 최소기준은 자격에서 나오는데, 학점은행제 등으로 자격확인서만 갖고 있는 장애영유아보육교사가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상대로 제대로 지도가 가능할지 의문이라는 겁니다.
참여자 G는 "특수교육은 장애영역별 이론과 교수학습방법, 행동분석연구와 발달심리를 포괄적으로 익혀야 한다. 일정시간 이수로 자격을 딴 사람들이 특수교육대상유아를 교육적으로 지도가 가능할지 의문"이라면서 "특별양성체제는 결국, 특수교육대상 유아들의 질 높은 교육을 막고 아이들의 미래를 망치는 길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반대 측에서는 장애영유아를 돌볼 수 있는 유아특수교사가 부족하다는 의견에 대해 반박하기도 했습니다.
참여자 H는 "유아특수교사 수는 부족하지 않다. 정부에서 임용 TO(규정에 따라 정한 구성원의 수)를 늘리지 않고 특수학급 증설하지 않아 생긴 문제를 왜 교사 자격증을 남발해 해결하려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밖에도 자신을 학부모라고 밝힌 참여자 I는 "대부분의 학부모는 우리 아이를 전문성 없는 아이에게 맡기고 싶지 않아 한다"면서 "자격 있는 유아특수교사 분들은 아이들을 보는 눈빛부터 다르다. 아이를 꼼꼼하게 지도하고 아이를 사랑가득한 눈으로 항상 바라봐 준다"고 말했습니다.
중립의견으로는 "양측 입장 다 일리가 있으니 교육부는 유아특수교사와 장애영유아 보육교사 간 협의점을 찾는데 노력을 해야 한다", "제대로된 준비 없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가 이번 갈등의 원흉이다","유보통합이 필요한 건지 모르겠다. 괜히 긁어 부스럼 만드는 듯" 등이 나왔습니다.
▶ 2편으로 이어집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기계연구원(2022)에서 배포한 ‘한국기계연구원 서체’(공공누리 제1유형)를 사용하였으며, www.kimm.re.kr/webfont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Best 댓글
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2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3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4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5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6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
7코아스는 대한민국 기업이라면 서로서로 유익하고 발전된 모습으로 가는것이 당연지사 맞다고 봅니다 기업인이면 주주들을 생각하고 보호하면서 가는 것이 아름답고 다른 기업에게도 좋은 이미지를 보일수 있는 기회를 잡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