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인가 겁박인가”…교권침해 가이드북에 대한민국교원조합 공분
▷대한교조, “‘교육활동 침해행위 대응자료’는 교육자들을 절망에 빠드리는 교권 가이드북”
▷대한교조, ”상식 밖의 교권관련 자료들 전수조사 해야”
(출처=대한민국교원조합)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대한민국교원조합이 지난해 한국교육개발원(KEDI)에서 발간된 ‘교육활동 침해행위 대응자료’에 대해 “교육자들을 절망에 빠뜨린 교권 가이드북”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지난 20일 대한민국교원조합은 보도자료를 통해 “’교육활동 침해행위, 어떻게 대응할까요’는 대체 누구를 위한 가이드북인가”라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교육활동 침해행위 대응용 가이드북’은
2022년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이 발간한
교원용 자료집으로 현직 교사와 학부모 단체 등의 자문을 받아 제작됐습니다. 이 책에는 교권침해 상황을
겪은 교사의 질문과 그에 대한 전문가의 답변이 Q&A 형식으로 담겨있습니다.
다만, 대한교조 측은 해당 서적이 교권침해 상황을 대처하는 데 있어
현실적이지 않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대한교조는 “이 책은 교사의 교육 및 학생지도활동을 뒷받침하고
옹호하는 것은 커녕 대놓고 교사 탓을 명토박고 있다”라며 “교사의 높은 언성에 학생이 두려움(을) 느낀다면 정서적 학대로 판정될 수 있으니 애초에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말라는,
이것은 가이드인가 겁박인가”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대한교조는 “수업을 방해하고 잠을 자고, 지시에 불응하는 것을 교육활동 침해로 보기 어렵다는 말은 참으로 놀랍고 도발적이며 전위적 견해다”라며 “교사를 때리거나 교실을 뒤집어 놓는
정도가 아니면, 그냥 정상적인 상황으로 알아서 감내하라는 말이다”라고
꼬집었습니다.
그러면서 대한교조는 “이 저술에 참여한 인물들은 고통에
처한 교사를 변호하고 옹호할 눈꼽만큼의 의지도 애정도 없다”며 “교사가 제자들에게 상욕을 들어도 모욕이 아니고, 반대로 교사가 학생을
훈계할 때 언성이 높아지면 학대라고 말한다. (이 책을 보면) 왜
교육자들이 천직인 줄 알았던 교직을 내려놓고 스스로 삶을 마감했는지를 짐작케 한다”고
했습니다.
대한교조 측은 교권 가이드북을 제작에 참여한 이들을 규탄하고 정부와 지역 교육청에 교권관련 자료 전수조사 및
개정, 폐지를 요구했습니다.
대한교조는 “이런 엉뚱한 교육 전문가들이 현장교사들을 훈계하고, 참으라고, 너희들 잘못이라고, 학생들은
문제없다고 가이드해온 지난 십수년의 세월. 교사들은 스스로 삶을 포기했고 소송과 악성민원에 말라갔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 대한교조는 해당 가이드북을 만들어 배포한 KEDI와 집필진, 그리고 자문 및 검토진의 공식적 해명과 교권 가이드북
제작의 책임자인 KEDI 원장의 사퇴를 촉구한다”라며
“정부와 지자체, 지역 교육청이 이번 가이드북과
같은 부류의 책자 제작에 참여하여 자문 및 검토를 했던 전문가 집단과 단체들이 일방적으로 배포한 상식 밖의 교권관련 자료들 전수조사하여 개정, 폐기 조치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잘모르겠어요
5태릉~ 참 좋은 곳이죠 ㅎㅎ 시간되면 아이들이랑 같이 가봐야겠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6정말 교통편이 힘들긴 하더라구요 ㅠㅠ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7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