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위즈경제 폴앤톡에서 “난방비 폭탄에 커지는 추경논란”에 대한 투표를 진행한 결과, 참여자의 65.9%가 더불어민주당이 난방비 폭탄에 대한 대책으로 내놓은 ‘추경’ 편성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는 2월 3일부터 2월 17일까지 약 2주 동안 실시됐고, 총 131명이 참여했습니다.
먼저 ‘난방비 인상이 가계에 얼마나 부담을 주고 있나요?’라는 질문에 ‘부담이 매우 크다’고 응답한 참여자가 73.8%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한 ‘부담이 있는 편이다’는 26.2%로 집계됐습니다. 이 응답을 합치면 100%로 사실상 전체 참여자가 모두 난방비 인상에 부담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추경을 반대하는 쪽에서는 추경을 선심성 대책이자 물가 상승을 우려하지 않은 포퓰리즘 정책에 불과하다고 봤습니다. 참여자 A씨는 “곶간을
털어서 돈잔치를 하려 하나. 돈이 땅에서 나오나 하늘에서 떨어지나 세금으로 더 이상 떼워선 안 된다”고 말했고 참여자 B씨는 “겨울이
지나간 상황에서 난방비 돕겠다고 예산 마구 끌어다 쓰면 결국 물가는 더 오를 수 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33.3%는 추경을 ‘찬성한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겨울철 난방비 등이 크게 올라 서민경제가 악화됐지만 정부가 기존 예산만으로 내놓은 대책은 한계가 있다는 생각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잘모르겠다’는 응답은 0.8%를 차지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정부는 취약계층을 위주로 난방비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라는 질문에는10명 중 6명(60.3%)이
‘취약계층에 대한 집중적 지원이 우선이다’를 선택했습니다. 다음으로는 ‘중산층까지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30.2%),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원해야 한다’(5.6%)입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4%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Poll 참여자 대부분은 추경 편성에 대해 반대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추경을 선심성 대책이자 물가상승을 우려하지 않은 포퓰리즘 정책으로 봤기 때문입니다. 실제 한 경제 연구원은 “소비자물가에 이어 공공 요금 인상도 줄줄이
대기 중”이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시중에 대규모 돈이 풀린
경우 물가는 들썩이고 이는 서민층에게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추경으로 일어날 역효과에
대해 밝힌 바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국가채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국회예산정책처
장기재정 전망에 따르면 현행 조세와 복지제도를 유지하더라도 국가채무 규모는 2022년 GDP 대비 49.7%에서 2070년 186%로 지속적으로 증가한다고 밝혔습니다. 국가채무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추경은 자칫 미래세대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정부는 취약 계층 지원을 서두르되
지나친 돈 풀기를 자제해야 합니다. 또 연료비 폭등을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박주인 의원! 한 입 가지고 두 말한 박주민 의원은 의원 자격없다. 즉각 사퇴하라!
2박주민 의원은 거주시설이용자부모회 김현아 회장님 앞에서 분명히 말했다.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을 폐쇄하고 탈시설 말하는 자립지원법안은 잘못된 법안이라고. 그렇게말했던 보건복지위 박주민 의원이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중증장애인들을 두번 울리는 박주민 의운을 강력히 규탄하면서, 자립지원법안을 폐지할 것을 촉구합니다!
3잘못된 법안은 불법입니다. 충분한 논의를 거쳐 현실에 맞는 법을 만들어야합니다. 중증발달장애인들에게는 자립지원법안은 생명을 위협하는 법안입나다.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죽음으로 몰고가는 사형법안입니다. 폐지 되어야합니다.
4사회적 약자를 위해 국가가 질좋은 복지를 고민하고 펼치라는 보건복지위. 그런데 박주민 의원은 사회적 약자 중에서도 의사표현도 못하는 최중증장애인들을 위험의 사각지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보건복지위는 자립지원법안을 즉각 폐기하라!
5진정한 민주주의는 약자와 소수의 의견을 존중하는 사회입니다. 정부와 보건복지부는 다양한 집단의 참여와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왜 장애인을 위한 법안을 채택할때 장애인 중에서도 최 약체인 중증발달장애인의 의견은 외면합니까.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허울좋은 단어로 거주시설을 탈시설시키려는 보건복지부의 정책에 절망감을 느낍니다.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이 죽어나가야 합니까.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의 가족이 고통을 받아야 합니까. 추운 한겨울에 힘없고 나이많은 부모님들이 자식을 위해서 거리에 나와 이렇게 저항하는 소리를 들어주십시오. 얼마나 어떻게 해야 부당한 정책에 힘없고 불쌍한 중증장애인들을 자식으로 둔 부모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겠습니까. 제발 중증장애인들도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하지 마시고,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획일적인 법안을 채택하는 일은 없어야 할것입니다. 그것이 진정한 복지 민주주의를 꿈꾸는 국민들을 위한 길입니다!!
6김예지, 최보윤! 두 의원은 장애인 이기 때문에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었다. 국회의원이 되엇으면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법안을 발의해야 하거늘 발달장애인들을 상대로 활보사업해 돈벌이 하는 장차연들의 주장대로 자립지원법안을 발의했다. 허울만 장애인인 김예지 최보윤은 의원직을 당장 사퇴하라! 천벌을 받을 것이다!
724시간 전문복지사 돌봄이 필요한 중증장애인을 사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 폐기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