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몬 재판 진짜 엄마의 마음으로...", '불출마' 선언한 나경원
▷ 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 당대표 불출마 선언
▷ '선당후사', '인중유화'의 정신으로... "출마가 분열의 프레임으로"
									국민의힘 로고 (출처 = 국민의힘)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차기 당대표 직에 도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그는 “우리 당의 분열과 혼란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막고 화합과 단결로 돌아올 수 있다면 용감하게 (당권주자 직을) 내려놓겠다”며, 공개적으로 불출마를 선언했는데요.
그 이유를 직접적으로 거론하진 않았습니다만, 대통령실 이른바 ‘윤핵관’과의 갈등이 나경원 의원의 불출마에 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입니다.
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 曰 “제 불출마 결정은 어떤 후보라든지, 다른 세력의 요구 등 압박에 의해 나타난 것이 아니다. 당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스스로 결정했다”
25일, 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은 기자회견을 통해 “선당후사(先黨後私, 당을 위해 사사로운 개인사를 돌보지 않음)와 인중유화(忍中有和, 인내 속에 화목이 있음)의 정신으로 국민 모두와 당원 동지들이 이루고자 하는 꿈과 비전을 찾아 새로운 미래와 연대의 긴 여정을 떠나겠다”며, 이번 국민의힘 전당 대회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그는 “어떤 시련 앞에서도 한 번도 숨지 않았고 옳다고 생각하는 가치를 위해 싸웠다”며, “이런 나에게 오늘 이 정치 현실은 무척 낯설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20여일, 과연 내게 주어진 소명이 무엇인지 스스로 묻고 또 물었다. 어렵게
만든 정권의 성공을 위한 길은 무엇일까, 총선 승리는 어떻게 담보할 것인가” 고민하여 내린 결론이 불출마라고 설명했는데요.
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 曰 “국민의힘을 무한히 사랑하는 당원으로서 솔로몬 재판의 진짜 엄마 같은 심정이다. 저의 출마가 분열의 프레임으로 작동했다고 생각한다. (…) 출마의 결정은 쉬웠을지도 모르나, 불출마는 굉장한 용기가 필요하다”
 
나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란 당을 생각하고, 국민을 최우선으로 여기겠다는 마음가짐을 중점적으로 부각했습니다.
그는 “대한민국 정통 보수 정당의 명예를 지키겠다”며, “어렵게 이뤄낸 정권 교체, 민생을 되찾고 헌정 질서를 바로 세우는 이 소중한 기회를 결코 헛되이 흘려보내선 안 된다”고 강조했는데요.
나 전 의원은 “일련의 과정에서 국민들께 많이 실망을 끼쳐드린 부분도 있다”며, 최근 불거졌던 윤핵관과의 갈등을 간접적으로 언급했습니다.
나 전 의원 본인으로부터 촉발된 정부와 여당의 내홍이
여러모로 국민들에게 심려를 끼쳤다는 이야기입니다.
나 전 의원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시절 출산 부모의 대출 원금을 탕감해주는, 이른바 ‘헝가리식 저출산 대책’을 내세운 바 있습니다.
정부에선 나 전 의원의 정책이 정부 기조와 대치된다며 비판했고, 결국 나 전 의원은 부위원장 직에서 해임되었는데요.
이 때의 해임을 두고도 국민의힘 안팎으로 말이 많았습니다. 나 전 의원은 지난 17일 SNS를 통해 직접 “해임이 대통령의 본의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국민과 대통령을 이간하는 당대표가 아닌 국민의 뜻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고, 일부 참모들의 왜곡된 보도를 시정하는 당대표가 필요하다”고 전했습니다. 국민의힘에 있는 친 윤석열계 의원들, 이른바 ‘윤핵관’들을 직접적으로 겨냥한 셈입니다.
 
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 曰 “대통령을 에워싸서 눈과 귀를 가리는 여당
지도부는, 결국 대통령과 대통령 지지 세력을 서로 멀어지게 할 것”
“윤석열 정부를 지켜야 한다”며 친윤계를 비판하고, 내년도 총선에서 승리하기 위한 비책을 고민하던 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은 결국 그 답을 ‘불출마’로 내놓았습니다.
나 전 의원의 불출마 선언으로 인해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직은 김기현 의원과 안철수 의원의 양강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