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철도노조 총파업 이틀째...열차운행 20%↓, 시멘트 수송80%↓

▷운행률 수도권전철 84%, KTX 77.5%, 화물열차 19.5%
▷파업 참가율 26.1%...전날보다 4.4% 올라
▷화물열차 운행도 줄어...장기화되면 피해 불가피

입력 : 2023.09.15 14:50 수정 : 2023.09.15 15:01
철도노조 총파업 이틀째...열차운행 20%↓, 시멘트 수송80%↓ 전국철도노동조합이 파업에 돌입한 14일 오후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3번출구 인근 세종대로에서 열린 철도노조 서울지방본부 총파업 출정식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출처=페이스북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 파업이 이틀째 이어지는 가운데, 한국철도공사 열차 운행률은 평시대비 79%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여기에 화물열차 운행도 크게 줄면서 시멘트 운송량도 80%가량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파업에 따른 열차별 운행률은 KTX 77.5%(80대 중 62대 운행), 여객열차 75.9%(108대 중 82대 운행), 화물열차 19.5%(41대 중 8대 운행), 수도권 전철 84.0%(620대 중 521대 운행)가 운행 중 입니다.

 

이에 국토부는 출·퇴근시 승객들의 이용불편을 최소화 하기위해 수도권 전철은 평시대비 출근 90%, 퇴근 80%이상 열차 운행을 계획했습니다.

 

아울러 국토부는 철도노조 총파업 이틀차인 오늘 파업 참가율이 26.1%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오늘 오전 6시 기준 출근대상자 1만8302명 중 4783명이 파업에 참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이는 파업 첫날인 어제(14일) 집계된 참가율 21.7%보다 4.4% 오른 것입니다.

 

철도노조 파업으로 화물열차 또한 전날(26.3%)보다 운행률이 더 떨어진 19.5%였습니다.이에 따라 주로 철도를 이용하는 시멘트 운송에 차질이 빚어졌습니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철도노조가 파업에 돌입한 첫날인 14일 시멘트의 철도운송량이 평시 약 2만6000t에서 약 5200t으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시멘트 업체들은 기존 철도수송 물량을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등을 통한 육송 출하로 돌리고 있습니다.시멘트 업체들은 비축한 재고 물량이 있어 단기적인 피해는 크지 않겠지만, 파업이 1주 이상 장기화할 경우 출하에 큰 차질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철도노조는 수서행 KTX 운행, KTX·SRT(수서고속철도) 연결 운행을 내용으로 하는 공공철도 확대와 4조 2교대 전면 시행,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14일 오전 9시부터 18일 오전 9시까지 4일간 시한부 파업에 들어갔습니다.

 

국토부는 철도노조 총파업 이틀째를 맞아 4783명이 파업에 참여하고 있다고 추산했습니다.이날 출근대상자 1만8302명 중 26.1%에 해당합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