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위고라는 첨예한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참여자들의 토론 내용은 기사에 반영됩니다. 건전한 토론을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위고라] 황영웅, 비판과 동정 여론 사이

찬성 81.82%

중립 9.09%

반대 9.09%

토론기간 : 2023.03.08 ~ 2023.03.29

 

[위고라] 황영웅, 비판과 동정 여론 사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황영웅이란 트로트 가수가 있습니다.

 

그는 ‘불타는트롯맨’이란 프로그램을 통해 전국에 이름을 알렸고, 나름 뛰어난 가창 실력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얻었습니다.

 

대국민 응원 투표 1주차부터 8주차까지 1위의 자리를 차지하는 등 황영웅은 ‘불타는트롯맨’의 유력 우승후보로 자리 잡았는데요.

 

그런데, ‘제2의 임영웅’을 꿈꾸던 황영웅이 학교 폭력을 저질렀다는 제보가 들어옵니다.


황영웅은 학창시절 약자들을 괴롭히고 폭행을 가했으며, 상해 전과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피해자들에 대한 사과는 없었는데요. 이뿐만 아니라 군대에서도 행실이 올바르지 않았고, 연인에게 데이트 폭력을 저질렀다는 등 의혹이 쉼없이 제기되었습니다.

 

‘불타는트롯맨’의 제작진은 황영웅의 학폭 논란이 제기된 후에도 그를 안고 가겠다는 듯, 프로그램 방영을 지속했습니다. 황영웅에게 억울한 부분이 있을 거라고 판단한 셈입니다.

 

결국 황영웅은 ‘불타는트롯맨’ 결승 1차전까지 출연해 당당하게 승리를 거머쥐었습니다. ‘불타는트롯맨’의 전국투어 콘서트의 출연 가수 목록에도 황영웅은 이름을 올리고 있었는데요.

 

황영웅을 둘러싼 논란이 수습할 수 없을 정도로 불거지자, 결국 그 자신이 나섰습니다.

 

황영웅은 지난 3일 SNS를 통해 “저는 이제 트롯맨 경연을 끝마치려 한다”며 ‘불타는트롯맨’에서 하차하겠다는 말을 전했습니다. 그는 “어린 시절의 일이라고 변명하지 않겠다”면서, “지난 시간을 돌아보며 반성하고, 오해는 풀고, 진심으로 사과하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동안 제가 살면서 한번도 상상하지 못했던 과분한 사랑을 보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했다. 그리고 다시 한번 죄송하다. 저로 인해 상처받으셨던 분들께 진심으로 용서를 구한다”고 전했는데요.

 

황영웅에 대한 비판 여론은 상당합니다. 많은 네티즌은 물론, 유명 방송인 박명수는 “기사 한 줄로 죄송하(다)고 사과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지나간 일이 아니다. 피해자는 가슴에 계속 남는다. 받아들일 때까지 찾아가서 사과해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러한 비판 여론에 힘입어 ‘불타는트롯맨’의 전국투어 콘서트는 취소표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반면, 황영웅을 옹호하는 여론도 있습니다. 그의 공식 팬카페 ‘PARADISE’의 회원 수는 지난 2월 26일 5천 명에서 3월 8일 기준 1만 4천 명까지 불어났습니다.

 

팬카페의 회원가입 인사 란엔 황영웅을 응원한다는 글이 줄을 이었으며, 또 다른 게시판엔 황영웅을 지지하는 댓글을 올리는 ‘네티 총공’ 인증글이 여러 개 올라오고 있는데요.

 

문화평론가 김갑수는 황영웅에 대해 “폭력적이었던 건 사실인 것 같은데 이 사람이 영원히 사회활동을 못할 정도의 악행을 저지른 수준인가에 대해선 이견이 많다”며 그를 변호했습니다.

 

그러면서 “반성도 하고 재능을 마음껏 발휘해 사회적으로 올바른 행동을 하는 걸 지켜보고 싶다”고 덧붙였는데요.

 

트로트계의 유망한 가수이지만 불명예스러운 과거를 갖고 있는 ‘황영웅’, 그의 연예계 퇴출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찬성: 연예계에서 퇴출하는 게 당연하다 (옹호하지 않는다)

반대: 피해자에게 사과를 하는 등 진정성이 있는 모습을 보인다면 팬들을 위해 연예계에서 받아들이는 게 맞다 (옹호한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