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W 2024] 서울서 첫 선 보인 ‘스마트라이프위크’…”서울, 세계 스마트도시 혁신플랫폼 될 것”
▷서울시, 10일 사람 중심의 기술 활용한 체험형 ICT 박람회 스마트라이프위크 개최
▷ 전 세계 72개국 115개 도시의 시장단과 기업 관계자 등 500명 참석
									메이어스 포럼에서 환영사를 진행 중인 오세훈 서울시장(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서울시가 누구도 기술에서 소외되지 않고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미래기술을 통해 시민이 행복해지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0일 코엑스에서 막을 올린 사람 중심의 기술을
활용한 체험형 ICT박람회 ‘스마트라이프위크(SLW)’ 개막식에서 스마트도시 서울의 비전을 발표했다. 
우선, 오 시장은 반려로봇, 서울런, 손목닥터9988, 자율주행버스 등 서울의 스마트 기술 사례를 소개하며, 서울은 최첨단 디지털 기술이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명실상부한 스마트 도시라고 강조했다.
그는 “기술 때문에 소외되는 사람이 없어야 하며, 사회적 약자들이 편안하고 편리하게 스마트라이프를 누릴 수 있도록 최대한 시민입장에서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도시가 꿈꾸는 미래가 눈 앞에 펼쳐질 ‘스마트라이프위크’에서 시민의 행복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함께 탐구할
것”이라며 “매년 서울에서 개최될 스마트라이프위크가 글로벌
디지털과 AI 전환을 선도하고 다양한 협력을 촉진하는 의미 있는 행사로 발전하기 희망하며, 서울이 세계 스마트도시의 혁신플랫폼이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날 오 시장은 해외도시 시장단을 비롯한 국내외 기업 참석자들과 함께 ‘첨단기술이
바꾸는 도시생활의 미래’라는 주제로 150여개 국내외 혁신기업의
기술을 전시하는 쇼룸과 기업전시관을 둘러보며 글로벌 기술 트렌드를 공유했다.
오후에는 세계 각 도시의 스마트도시 비전과 경험, 정책 사례 등을
공유하는 ‘메이어스(Mayors) 포럼’이 진행됐다.
이날 포럼은 ‘다함께 만들어 가는 미래 스마트도시’를 주제로 33개 국내외 도시 시장단이 참석했다.
오 시장은 포럼 환영사에서 “스마트도시의 성공은 도시정부의
비전과 리더십에 달려있다”며 “오늘
포럼에서 논의할 스마트도시의 미래는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것 그 이상의 의미”라고 말했다.
이어 “세계 도시들이 도시 차원에서 독창성을 유지하면서도
서로의 경험과 자원을 공유해 도시차원에서 연대하고 협력할 때 더 큰 변화,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갈
수 있다”고 밝혔다. 

메이어스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진행 중인 파이살 빈 압둘라지즈 빈 아이야프 리야드(사우디아라비아) 시장(출처=위즈경제)
메이어스 포럼에는 파이살 빈 압둘라지즈 빈 아이야프 리야드(사우디아라비아) 시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마이무나 모드 샤리프 쿠알라룸푸르(말레이시아) 시장, 매튜 헤일 LA(미국) 부시장 등이 각 도시의 스마트 정책과 사례 발표를 진행했다.
한편,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스마트라이프위크는 ‘사람 중심의 기술, 더 나은 삶으로 연결하다’를 슬로건으로 전 세계 72개국
115개 도시의 시장단과 기업 관계자 등 500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시는 “‘스마트라이프위크’는
국내 혁신기업을 전 세계에 세일즈하고 미래 기술 트렌드를 선도하는 국제적 플랫폼으로 전 세계 도시와 기업 관계자가 서울에 모여 스마트도시 서울을
체험하는 새로운 개념의 박람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