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러시아는 핵을 쏠까?

▷ 우크라이나의 반격 시작... 러시아 '핵' 언급
▷ "실제로 전략적 핵무기 사용 가능성 낮아... 대신 우크라이나 내 원전 폭격할수도"

입력 : 2022.09.29 15:30 수정 : 2022.09.29 15:12
러시아는 핵을 쏠까?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어느덧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반 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개전 초기에는 러시아가 군사력 우위를 바탕으로 우크라이나를 몰아 붙였으나, 서방의 지속적인 지원에 힘입은 우크라이나는 반격에 성공했습니다. 주요 거점 도시를 탈환하면서 러시아의 손에 넘어갔던 영토를 수복하고 있는데요.


우크라이나의 거센 반격에 러시아는 고전을 면치 못했습니다. 각종 군수물자를 점령지에 내버려 둔 채 후퇴를 감행하기도 했는데요.

 

전쟁의 판도를 뒤집기 위해 러시아는 세 가지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예비군 동원령, 주민 투표, 그리고 핵입니다.

 

먼저 러시아는 전국에 예비군 동원령을 발령해 병력 30만 명을 보충할 것이라며, 남성들을 징집하기 시작했습니다.


 러시아 시민들의 강력한 반대 여론에 부딪혔지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동원령을 강행했습니다. 고학력자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러시아 남성들이 군대로 끌려가고 있는데요.


그 다음으로 러시아는 점령지 대상 주민투표를 진행했습니다


크라이나 주 내 점령지 4(도네츠크, 루한스크, 헤르손, 자포리자 등)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러시아 영토 편입에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를 묻는 투표였는데요


 

지난 27일(현지시각),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에서 한 여성이 투표하는 모습 (출처: AP 연합뉴스)

 


결과는 압도적인 찬성이었습니다. 대부분 지역에서 러시아 영토 편입에 찬성한다는 비율이 90%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현재 4개 주에 남아있는 주민들 대부분이 친러 성향을 갖고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블라디미르 살도 헤르손 주지사(러시아 임명) 曰 “ (주민) 대다수가 우크라이나에서 탈퇴하고 러시아에 합류하는 것을 지지했다는 점이 분명해졌다

 

우크라이나와 서방국가 측은 이번 주민투표 결과가 무효라고 주장했지만, 러시아는 완고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민투표의 결과가 러시아에게 상당히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러시아는 점령지 주민들이 영토 합병에 찬성했다는 결과를 핵 공격의 명분으로 삼았습니다.


우크리아나 4개 주는 결국 러시아 영토가 되었고, 이를 공격하는 행위는 절대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설사 핵을 사용하더라도 말입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러시아는 스스로를 방어할 권리가 있다. 이는 허세가 아니다라며, 러시아는 핵무기를 사용할 권리가 있으며 우리는 자국 정책을 엄격히 준수할 것이라는 뜻을 밝혔습니다.


우크라이나가 영토를 수복하기 위해 군사 행동을 계속하면, 핵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의지가 담긴 경고성 발언이었는데요.

 

드미트리 노비코프 러시아 하원 국가문제위원회 제1부위원장 曰 우리는 우리만의 군 잠재력을 갖고 있다. 위협이 있을 경우 우리가 (핵 무기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생각은 잘못된 것


러시아의 위협이 계속되자, 핵전쟁 가능성이 대두하고 있습니다.


최근 러시아가 요오드화칼륨을 대규모로 사들이는 것도 핵전쟁 가능성에 불을 지폈는데요.


요오드화칼륨은 핵이 분출하는 방사능이 신체에 농축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러시아는 보건부 산하 의생물학청을 통해 485만 루블(11,300만원) 규모의 요오드화칼륨을 긴급히 사겠다고 공문을 낸 바 있습니다.


하지만 美 정보당국이 푸틴 대통령이 지위를 위협받거나 러시아에 대한 실존적 위협이 있는 경우에만 핵 무기를 사용할 것이라며, 러시아가 전술 핵무기를 실제로 우크라이나 본토에 쏠 확률은 낮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러시아가 다른 방식으로 핵 전쟁을 치를 것이라는 흥미로운 주장이 나왔습니다

 

영국 육군 출신으로, 나토에서 CBRN(화학/생물학/방사선 및 핵) 사령관을 역임한 바 있는 해미쉬 드 브레드 고튼(Hamish de Bretton Gorden)CNN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전략 핵무기를 사용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생각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세계적인 핵전쟁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대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원자력 발전소를 공격할 수도 있다고 그는 덧붙였는데요. 원자력 발전소를 공격해 큰 피해를 입힌다면, 자연스레 방사능이 유출될 것이고 이것이 핵과 유사한 역할을 해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해미쉬 드 브레드 고튼 전 나토 CBRN 사령관 曰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는 우크라이나의 원자력 발전소가 러시아에 의해 공격받는 것이다. 이것은 전략 핵무기와 유사한 효과를 내면서, 우크라이나가 자신들의 원자력 발전소를 스스로 폭파시켰다고 비난하는 러시아에겐 (원자력 발전소 공격을) 부인하기 쉬운 방법이다”(“The most likely nuclear scenario is, I believe, an attack by Russia on a nuclear power station in Ukraine. This could have a similar effect to a tactical nuclear explosion but would be easier to deny for the Russians, who accuse Ukraine of deliberately bombing their own power stations.”)

 

핵 무기가 전면적으로 언급될 정도로 전쟁이 고조된 상황에서, 주요 국가의 수장들이 앞으로 어떻게 행동할지에 대해 많은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