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실종된 日 자위대 헬기 인양 완료…추락 원인은?

▷2일 오전 일본 육상자위대 헬기 인양 성공
▷사고 헬기의 추락 원인 두고 추측 난무

입력 : 2023.05.03 17:20 수정 : 2024.06.12 11:04
[외신] 실종된 日 자위대 헬기 인양 완료…추락 원인은?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달 실종된 일본 육상자위대 헬기가 해저에서 인양됐습니다. 

 

현지 공영 NHK 및 지지통신, 민영 TBS 뉴스 등에 따르면 2일 오전 1145분께 민간 작업선 2척은 오키나와()현 미야코지마 (宮古島) 인근에서 실종된 육상자위대 헬기를 인양했습니다.

 

사고 헬기는 미야코지마 서쪽 인근 이라부지마(伊良部島) 북쪽 6km 떨어진 해역, 106m 해저에 가라앉은 채 발견됐습니다.

 

방위성 관계자에 따르면 이날 오전 2시 작업선을 사용해 사고 헬기를 그물로 감싼 작업을 진행한 후 오전 11시쯤 기체 일부를 끌어올렸습니다.

 

육상 자위대는 사고 헬기의 손상 등을 상세하게 조사해, 사고 원인을 명확히 규명할 방침입니다.

 

한편 일본 언론에서는 사고 헬기가 추락한 이유에 대한 각종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본 TBS테레비는 2(현지시각) 해난사고 전문가인 야마다 요시히코(山田 吉彦) 교수의 말을 인용해 기체가 산산조각이 난 것으로 볼 때 측면으로 추락한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헬기는 정면으로 추락했을 때 큰 손상이 발생하지 않지만 측면으로 추락했을 땐 해당 사고 헬기처럼 산산조각이 난다는 것입니다.

 

또한 야마다 교수는 기체 손상을 놓고 봤을 때 내부에서 무언가가 폭발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봤습니다.

 

요미우리테레비 타카오카 해설(タカオカ解)에 출연한 앵커는 사고 헬기의 꼬리 부분이 심각하게 파손된 것을 강조하며,헬기 꼬리 부분이 공중에서 파손될 경우 조종사는 헬기를 조종할 수 없어 큰 사고의 원인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어 이번 헬기 사고의 원인 규명을 위해선 하나라도 더 많은 부품을 회수해야 한다면서 회수한 부품이 많을수록 사고 당시 헬기의 상태를 재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헬기의 꼬리 부분이 바다로 추락했을 때 수면과 충돌하면서 파손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밖에도 사고 당시 헬기의 비행 속도, 고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비행기록장치 역시 이번 헬기 추락 사고 원인 규명의 큰 단서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고 헬기의 비행기록장치는 기체 내부에 부착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머지 않은 시일 내 방위성이 조사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4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5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6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7

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