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훔쳐보기?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중국에서 몰래 훔쳐보는 중
▷ 삼겹살, 한복...중국 드라마 '진수기'
▷ 한국인들의 반중감정은 역사 모르기 때문?
#중국에서 훔쳐본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우 to the 영 to the 우"
최근 국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드라마가 있습니다. 바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죠.
자폐를 갖고 있는 변호사의 이야기를 담아낸 이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최근 시청률은 7월 20일 기준 11.7%.
MBC, SBS, KBS 같은 방송 3사도 아니고, JTBC/TVN 같은 인기 케이블 채널에서 방영하는 드라마도 아닌데 상당히 높은 시청률입니다.
그런데, 분명 우리나라에서 방영하고 있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인기가 중국에서 뜨겁습니다.
중국에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불법 유통해 몰래 훔쳐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산 드라마를 훔쳐 보는 것만이면 몰라도, 중국은 한 술 더 떴습니다.
중국 최대 콘텐츠 리뷰 사이트인 ‘더우반’에선 이미 ‘이상한 나라 우영우’의 평점을 매기고 있으며 리뷰가 2만 건 이상 올라왔다고 합니다.
중국에 정식으로 유통되는 드라마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리뷰가 2만 건이 넘는다는 건 다소 이상합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曰 “그야말로 자기들끼리 몰래 훔쳐보면서 할 건 다하고 있는 상황"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중국의 한국 콘텐츠 불법 유통은 예전부터 큰 문제가 되었다"며, “중국 당국이 알면서도 지적재산권 보호 및 불법유통 단속을 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 당국은 다른 나라 문화를 먼저 존중할 줄 아는 법을 배우고, 반드시 행동으로 보여 달라"고 덧붙였죠.
#중국산 드라마에서 나는 익숙한 향기
중국이 빚어낸 논란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뿐만이 아닙니다. 디즈니+에서 방영하고 있는 드라마 ‘진수기’, 중국에서 만들었습니다.

이 드라마의 한 장면을 보면 등장인물들이 한복을 입고 삼겹살을 먹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문화와 상당히 유사하죠.
‘진수기’가 우리나라 문화를 표절했다는 의혹이 짙은 가운데, 디즈니+는 ‘진수기’의 한국 방영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에서는 ‘진수기’를 볼 수 없는 것이죠.
디즈니+ 曰 “콘텐츠 공개 여부 및 일정은 각 나라의 여건과 사정에 따라 상이하다"
‘진수기’가 표절 논란을 빚자 루 차오 랴오닝대 미국동아시아연구소장은 이런 주장을 합니다.
"최근 몇 년 사이 발생한 한국과 중국 사이 문화 분쟁은 일부 젊은 한국인들이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에서 비롯됐다."
또, 중국 관영매체 환구망에 올라온 기사에서도, '이번 논란에 대해 중국 네티즌들은 배우들이 한복이 아닌 명나라 옷을 입고 있다’, ‘진수기에 나온 음식들은 다 중국 전통 음식이라 흠잡을 데가 없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고 보도했죠.
서경덕 교수는 중국의 이러한 태도를 즉각 비판했습니다.
그는 “중국의 일부 누리꾼들이 역사를 제대로 교육받지 못해 한국의 대표 전통문화인 한복, 김치, 삼계탕 등이 중국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여 반중감정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사실을 환구망만 모르고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무엇보다 중국에서의 한국 콘텐츠 훔치기는 만연해 왔고, 인기 예능 및 드라마 등을 불법으로 다운 받아 유통해 왔으며, 한류스타들의 초상권을 마음대로 사용하는 등 ‘도둑국’ 이미지는 이미 전 세계인들이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