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4번 단축 운행 예고…양주시 의회∙시민들 ‘반발’
▷지난해 11월 3일, 서울시 704번 단축 운행 통보
▷양주시의회, 노선 현행유지 건의안 본회의서 처리
▷”광역단체장 간 사전협의 생략할 수 없도록 해야”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서울시가 704번 노선버스의 단축 운행을 예고하면서 양주시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3일 서울시는
일방적으로 양주시와 경기도에 같은 달 28일부터 704번
간선 버스 단축 운행 시행을 통보했습니다.
이에 양주시의회는 704번 버스노선 현행유지 촉구 건의안 등 8개 상정안건을 본회의에서 처리하고 올해 13일에 있던 임시회를 폐회했습니다. 의원 만장일치로 채택한 건의안을 양주시의회는 국토교통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서울시, 서울시의회 등에 보낼 예정입니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서울시로부터 장흥지역 구간을 폐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 노선개편 통보가 날아들었습니다. 폐지 이유로 든 것은 장거리 운행에 따른 운전자들의 노동시간과 송추차고지
충전소 부재로 인한 22km 공차 운행 문제입니다. 서울시는
노선개편을 통해 차고지를 양주 부곡리에서 은평구 진관으로 옮길 예정입니다.
이 같은 노선개편 방침에 장흥지역 주민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704번
버스운행이 멈추면 당장 서울을 오가는 대중교통이 없어 일상은 물론 생계까지 곤란해진다고 하소연합니다.
여기에 704번 버스노선에는 우이령,
북한산 둘레길 등 서울민들이 즐겨 찾는 등산코드도 포함돼 있어 양주시민뿐만 아니라 이동권을 제한받게 된 서울시민들의 민원도 가중되고
있습니다.
한상민 양주시의원은 "서울시는 그간 시민들의 강력한 반대에도
경기 동북부를 연결하는 버스노선을 잇따라 폐지했다"며
"시민이 특정 지자체 버스정책의 일방적인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국토교통부는 시도 연결 노선의 경우, 해당 광역단체장 간 사전협의를 생략할 수 없도록 관련 법령을 즉각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704번 버스는 장흥면 부곡리 차고지를 출발, 고양시~은평뉴타운~서대문~서울역을 운행하며, 장흥면만 29개 정류장을 통과합니다. 양주시 장흥면 주민들이 서울로 갈 수 있는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입니다. 704번 버스의 현재 노선은 서울시 63개소, 양주시 29개소, 고양시 18개소 등 110개 정류장을 지니도록 구성돼있습니다.
704번 버스 일평균 승차량은 ▲2020년 8451명 ▲2021년 8561명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