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권 있어 좋다"는 성인이 72.5%?... 판매액은 늘었지만 구매빈도는 떨어져
▷ 2022년 복권 판매액 6조 4천 억, 2천 4백만 명 정도 구매
▷ 지난 1년간 복권 구매 빈도는 오히려 하락... 20대가 특히 낮아
▷ 1등 당첨금 세율 33%... 과하다는 의견도 있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2022년, 우리나라에선 복권 6조 4,292억 원 어치가 팔렸습니다. 전년보다 무려 4,539억 원(7.6%) 증가했고, 기획재정부는 작년 한 해 2천 4백만 명이 복권을 구매했을 것으로 추정했는데요.
복권에 대한 이러한 높은 인기는 복권의 인식에 그대로 반영된 듯합니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성인 1,020명을 대상으로 ‘복권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복권이 있어 좋다”는 응답이 74%로 나타났는데요.
복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2018년과 2020년을 제외하면 지난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와 달리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중 최근 1년 이내 복권구입 경험자는 56.5%로 지난해 대비 6.3%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복권 판매액이
올랐지만 복권을 구입한 경험이 줄어들었다는 점은, 복권 구매량이 편중되어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연령 별로 60대 이상의 복권 구매자가 27.4%로 가장 높았는데요. 반면,
20대 복권 구매자는 12.8%로 가장 낮았습니다.
뿐만 아니라, 복권이 ‘사행성을
조장’(21.3%)하고 ‘당첨확률이 낮으며’(20.2%), ‘일확천금을 쫓는 도박’(14.0%)이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여기고 있다는 응답도 여럿 있었는데요.
복권에 대한 청년들의 저조한 인기는 ‘세금’으로부터 기인하는 듯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복권에 당첨된 사람은 의무적으로 세금을 내야합니다.
현행 규정에 따르면, 200만 원 초과~3억 원 이하의 당첨금엔 22%가, 3억 원을 초과하면 33%의 세율이 붙습니다. 지난 7일에 당첨된 로또 1049회차의 1등 당첨금은 약 17억, 세금(약 5억 원)을 공제하면 11억 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복권에 부과되는 세금에 대해 한 네티즌은 “애초에 로또가 이상하다”며, “로또 기금액 대비 당첨금이 낮은데 세금도 떼어가는 건 부당하다”고 전했습니다. 다른 네티즌 역시,
“33%의 세율은 (정부가) 너무 많이 가져가는
것 같다”고 밝혔는데요.
30대 남성 A씨는 “로또 당첨금에 비해 세율이 강한 건 맞다”며, “저소득층이 복권에 당첨되었을 경우엔 세율을 낮추는 등 유연한 방안이 필요한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세금뿐만 아니라, ‘당첨 확률’ 자체에
대한 난관도 로또의 저조한 인기에 한 몫을 했습니다. 일 년에 로또를 한 두번 정도 구매하고 있는 20대 후반 B씨는 “로또는
한탕이다”라며, “당첨 확률이 저조할 뿐더러 당첨금이 100억 원 같이 엄청난 규모로 쌓이지 않는 한 적극적으로 구매할 일이 없을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한 달에 두 번 정도는 필수적으로 로또를 구매하는 중장년층
C씨는 로또에 대한 장단점을 묻는 질문에 “우리나라 복권은
너무 잘 맞지만, 또한 맞지 않는다”고 응답했습니다. 복권 당첨자가 많아 당첨금의 규모가 작아지고 있지만, 정작 당첨확률은
낮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