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복권 있어 좋다"는 성인이 72.5%?... 판매액은 늘었지만 구매빈도는 떨어져

▷ 2022년 복권 판매액 6조 4천 억, 2천 4백만 명 정도 구매
▷ 지난 1년간 복권 구매 빈도는 오히려 하락... 20대가 특히 낮아
▷ 1등 당첨금 세율 33%... 과하다는 의견도 있어

입력 : 2023.01.11 16:30 수정 : 2023.01.11 16:32
"복권 있어 좋다"는 성인이 72.5%?... 판매액은 늘었지만 구매빈도는 떨어져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2022, 우리나라에선 복권 64,292억 원 어치가 팔렸습니다. 전년보다 무려 4,539억 원(7.6%) 증가했고, 기획재정부는 작년 한 해 24백만 명이 복권을 구매했을 것으로 추정했는데요.

 

복권에 대한 이러한 높은 인기는 복권의 인식에 그대로 반영된 듯합니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성인 1,020명을 대상으로 복권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복권이 있어 좋다는 응답이 74%로 나타났는데요.

 

복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2018년과 2020년을 제외하면 지난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와 달리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중 최근 1년 이내 복권구입 경험자는 56.5%로 지난해 대비 6.3%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복권 판매액이 올랐지만 복권을 구입한 경험이 줄어들었다는 점은, 복권 구매량이 편중되어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연령 별로 60대 이상의 복권 구매자가 27.4%로 가장 높았는데요. 반면, 20대 복권 구매자는 12.8%로 가장 낮았습니다.

 

뿐만 아니라, 복권이 사행성을 조장’(21.3%)하고 당첨확률이 낮으며’(20.2%), ‘일확천금을 쫓는 도박’(14.0%)이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여기고 있다는 응답도 여럿 있었는데요.

 

복권에 대한 청년들의 저조한 인기는 세금으로부터 기인하는 듯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복권에 당첨된 사람은 의무적으로 세금을 내야합니다.

 

현행 규정에 따르면, 200만 원 초과~3억 원 이하의 당첨금엔 22%, 3억 원을 초과하면 33%의 세율이 붙습니다. 지난 7일에 당첨된 로또 1049회차의 1등 당첨금은 약 17, 세금(5억 원)을 공제하면 11억 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복권에 부과되는 세금에 대해 한 네티즌은 애초에 로또가 이상하다,로또 기금액 대비 당첨금이 낮은데 세금도 떼어가는 건 부당하다고 전했습니다. 다른 네티즌 역시, “33%의 세율은 (정부가) 너무 많이 가져가는 것 같다고 밝혔는데요.

 

30대 남성 A씨는 로또 당첨금에 비해 세율이 강한 건 맞다,저소득층이 복권에 당첨되었을 경우엔 세율을 낮추는 등 유연한 방안이 필요한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세금뿐만 아니라, ‘당첨 확률자체에 대한 난관도 로또의 저조한 인기에 한 몫을 했습니다. 일 년에 로또를 한 두번 정도 구매하고 있는 20대 후반 B씨는 로또는 한탕이다라며, “당첨 확률이 저조할 뿐더러 당첨금이 100억 원 같이 엄청난 규모로 쌓이지 않는 한 적극적으로 구매할 일이 없을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한 달에 두 번 정도는 필수적으로 로또를 구매하는 중장년층 C씨는 로또에 대한 장단점을 묻는 질문에 우리나라 복권은 너무 잘 맞지만, 또한 맞지 않는다고 응답했습니다. 복권 당첨자가 많아 당첨금의 규모가 작아지고 있지만, 정작 당첨확률은 낮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는 이야기입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